











“가난한 자를 위한 몰디브”란 말을 듣고 있는 필리핀 팔라완으로 신혼여행을 다녀왔다. 마음은 몰디브지만 “시간관계상” 필리핀으로. 나중에 아이의 손을 잡고 여유있게 몰디브엘 가자는 다짐을 하고 필리핀행 비행기에 몸을 싣다.
저녁 결혼식에, 간단히 친구들과 맥주 한잔하고 호텔에 들어선 시각이 새벽 1시. 3시간 정도를 자고 그 비싼 호텔비를 내고 (친구들이 잡아줬다고) 새벽을 가르며 공항에 도착.
필리핀 마닐라에서 가이드와 만나 늦은 점심을 먹고, 호텔에 짐을 풀고, 근처 카지노엘 갔다. 아내는 카지노가 처음이고, 나는 라스베가스 출장때 한번 가본 (이때 25센트 슬롯머신에서 100여불을 땄다는 -.-v) 적이 있었는데, 우린 돈을 따는게 아니라 카지노를 즐기자는 마음에 일인당 만원? 정도씩을 바꿔 이 돈을 다 잃을때 까지 이것저것 해보며 재미있는 시간을 보냈다.
다음날 아침 필리핀 국내선을 타고 팔라완으로 들어가려는데, 가이드가 “가끔 고장으로 비행기가 늦어지기도 하니까 걱정말고 다녀오세요. 제일 늦은적이 3시간인데.. 딱 한번 그랬어요”란다. 그렇다. 우린 그날 3시간 반을 공항에서 비행기가 출발하기만 기다렸다. 탔다 내렸다, 탔다 내렸다, 탔다. 이제야 출발한다. “하하. 우리가 그 기록을 깼네~~!!”

팔라완 공항은 어이없다, 귀엽다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비포장 활주로다. 그렇다. 비포장이다.
하늘에서는 그냥 길인줄 알았던 그곳이 비행장이다. 드드드드드드…. 흙먼지와 함께 무사히 비행기가 멈추고, 나뭇잎으로 엮은 조그만 공항은 대부분 우리가 묵을 클럽 노아 이사벨 리조트로 가는 사람들이었고, 리조트에서 마중나온 가이드를 따라 미군 짚차를 개조해 만든 지프니(버스)를 타고, 다시 방카(배)를 타고 리조트에 들어갔다.










마닐라에서 다시 가이드와 만나 피나투보 화산 트래킹을 하고 (음.. 별로였다) 쇼핑을 하고 (으례 신혼여행에는 양가 선물을 무척이나 빠방하게 한다고…) 다시 일상으로 돌아왔다.


선글래스도 사드려야 하는구나.. ㅎㅎ
결국 지난주에 근사한것으로 하나 장만해드림 🙂
결혼 전 와이프를 만난 BnO (지금은 모임에 이름을 쓰지 않지만…) 모임 사람들과 생일 파티를 겸해 설악산으로 여행을 다녀왔다. 이 모임에서는 생일자가 저녁을 대접하고 선물을 받는 건전한? 문화가 있는데, 이 해에는 5월 근방 생일자 4명이 모여 여행을 준비했었다.
등산이 아닌 케이블카를 타고 권금성 유람 및 공원내 신흥사 산책







국토 최남단, 조그만 섬, 어느 광고의 한장면.
이게 내가 알고 있는 마라도의 전부였다.





우도(소가 누워있는 모양이라해서 우도라 한다)는 지난번 제주도 여행때 왔다가, 조그만 섬에 아기자기한 볼거리와 풍광에 매료되어 다시한번 가보리라 맘 먹었던 곳이다. 제주도를 시계방향으로 돌아 서귀포까지 가는 시내버스를 타고 시골 바닷가 풍경을 즐기면서 성산일출봉 근처 자그만 항구에 내려 배를 타고 들어갔다.
마침 바람이 너무 많이 불어 그 큰 페리호가 휘청거리며 아슬아슬하게 닻을 내리고 간것까지는 좋았으나, 평일에 바람도 많고, 성수기도 아니어서 그런지 선착장에서 쉽게 방을 구할 수 있을거란 생각이 잘못되었음은 금세 난감한 상황으로 몰고 갔다. 터벅터벅 온갖 짐을 둘러메고 무작정 찾아 들어간 어느 민박집. 손님은 나 혼자고 방은 너무나 커서 휑~하고, 게다가 주인은 제주로 나가서 밤에나 온다고 옆 낚시점 주인이 대신 손님을 받았다.
그래.. 낚시점도 있으니 낚시도 하고 좋지머.. 그러나 바람이 이렇게 불면 고기 없다는 무심한 주인 아저씨의 말에 낮 11시부터 하루종일 뒹굴뒹굴.. 오후가 되니까 먹구름이 끼고 바람은 태풍처럼 변해가고. 민박집 자전거를 빌려 어렵게 어렵게 가게를 찾아 먹을걸 좀 사고.. 가스가 없어 생라면을 부셔먹으며 TV의 모든 채널을 섭렵하는 게으름(내 의지가 아니었다고…)의 사치를 누리며 하루를 잤다.


오랜 연애 생활의 결실로 민수형과 인자가 결혼식을 올렸다. 선배와 후배의 결혼식.
이직기간중 백수라는 이유로 하루 일찍 내려가 신랑 신부 드레스 입어보는 자리부터 같이 참석했다. 이 부부도 워낙에 바쁜지라 결혼식 전날 내려와서 드레스 가봉을 했는데, 이때는 내가 결혼하기 전이라 한편으로 부럽고 설레기도 했던 기억이 난다.



경마장에도 가고

무슨 영화인가, 드라마인가에 나왔다는 호텔앞 절벽에서
선배 결혼식 겸, 텔코웨어 -> 네오위즈 이직 중 짬을 내어 제주도엘 다녀왔다. 남는게 시간이요, 느긋한 여행을 위해 배로 가보기로 하고, 목포행 고속버스 막차를 타고, 생각보다 일찍 (3시간-3시간 반) 목포에 도착. 목포는 처음 가보는곳이고, 언론 및 영화에서 왜곡된 이미지에 막대한 영향을 받은 바, 왠지 가기 머뭇거려지는, 낯선 곳인데, 새벽 4시에 여길 도착하니 막막할 수 밖에. 제주도 가는 배는 아침 9시. 5시간을 무얼하나 고민중에 누군가 목포에서 아침 배를 타려면 찜질방에서 쉬다가 가는게 좋다는 얘기가 생각나 무작정 택시를 타고 “가까운 찜질방이요~”
택시기사 아저씨는 구수한 (다소 살벌한 느낌의 그) 사투리로 “어서 왔소?”를 시작으로 이런저런 얘기를 주고 받던중. “제주 갈라믄 어차피 아침 먹어야 하잖소? 선착장 앞에 식당서 아침 백반 5천원잉께 거 묵고.. 잘 야그해서 거서 한숨자다 배 타소”란 아주 귀한 정보를 주셨다. 나와 비슷한 사람들이 워낙 많아서 다들 그런식으로 한다고. 식당에 들어가 “잠 좀 자다가 아침먹고 배타려구요” 했더니 친절히 이불까지 꺼내주신다. 잠깐 눈을 붙이고 일어나 말 그대로 목포식 정식 (반찬만 무려 20여가지, 그 중 절반 이상이 난생 처음 먹어보는 바닷가 음식들)을 먹고 배에 올랐다.
(추자도 들러 두어시간 만에 제주까지 가는 쾌속선은 9시경. 매우 비싸고, 고속이라 멀미가 심하다 하여 4시간 정도 가는 페리호를 선택했다. “학생도 아니고, 배멀미도 있을지 모르고… 좋은걸로 타자” -> 1등석! (페리호는 1등석, 2등석 모두 별 차이 없어보였음)
아무튼.. 이렇게 태어나 두번째 제주행이 시작된다. (처음은 대학 수학여행으로)

언제나 즐거운 그들과의 여행 – 남식, 종태, 은정, 희연, 효순, 용재, 승훈
재미있고, 즐겁고, 나이/직업이 상관없는 호형호제!





